뼈의 탄력성을 능가하는 외력이 가해지면 두개골 골절이 생긴다. 두개골 골절이 있는 2/3 환자에서 의미 있는 두개강내 병변이 생기고 경막하 혈종이나 경막 상부 혈종의 발생을 몇 배로 증가시킨다. 골절은 선형, 기저, 복합성, 함몰성 등으로 나눈다.
(1)선상골절(linear fracture)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는 선상골절은 특별한 치료를 요하지 않습니다.
C-T 혹은 MRI를 시행하여 두개강내 출혈 등의 합병증이 있는지 확인하시는 것이 좋다.
(2)함몰골절(depressed fracture)
폐쇄성(두피에 상처가 없는) 함몰골절은 뇌 성장기의 소아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수술을 하여 주는 것이 좋고 성인에서는 5mm이상 함몰이 된 경우 수술을 시행한다.
개방성(두피에 상처가 있는 경우) 함몰골절의 경우는 골수염이나 수막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수술을 하여야 한다
(3)두개저 골절(basal skull fracture)
두개골기저부 골절은 종종 혈성고실(고실후면에 피가 고인 것), 유양 돌기에 뒤늦게 나타나는 점상출혈(Battle's 징후)이나 안주 위 점상 출혈("racoon 징후")을 동반한다. 일반적인 X-ray 검사에서는 두개골 기저부 골절이 안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임상 증상이 있는 경우 의심해 보아야 한다.
단순 두개골 X-선 촬영으로 진단하기는 대단히 어렵다.
그러나 기저부 골절시 경막이 찢어지면서 뇌척수액이 비강이나 외이도를 통하여 흘러나오게 된다. 이 경우 뇌와 체표면적의 사이에 개방창이 생긴것과 이에 수반되는 뇌척수액의 유실이 문제가 된다. 하지만 두개내압이 상승하는 경우에 뇌척수액의 우실이 두개내압 상승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이경우에는 패킹을 하지 않는다.
수막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 할 수 있으며 3주가 지나면 안심할 수 있다.
(4)성장성 두개골 골절
주로 소아에서 발생하며 수상 초기에는 선상골절만 있다가 수개월 내 지 수년이 경과하면서 차츰 골절선이 벌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pulled elbow 팔 빠진 아기 (0) | 2022.02.16 |
---|---|
TBI traumatic Brain Injury 두부외상 > 뇌출혈 영상감별 (0) | 2022.02.10 |
Head Trauma 두부외상 > PECARN rule - 소아두부외상 & CT (0) | 2022.02.10 |
Dizziness 어지러움 > physical (3) 소뇌기능검사 (0) | 2022.02.10 |
Dizziness 어지러움 > physical (1) BPPV 감별 : Dix -Hallpike 수기 (0) | 2022.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