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응급실8 의식저하와 coma (rosen 9th) coma는 다양한 반사 행동을 보이며 외부 자극으로 흥분할 수 없습니다. Stuporous 하거나 lethargic한 환자는 의식 수준이 저하되지만, 이러한 환자는 외부 자극에 의해 자극될 수 있습니다. 원인 대부분 metabolic disorder(일반적으로 포도당 장애, 약물 과다 복용 또는 부작용) traumatic brain injury, CNS infection, ischemic or hemorrhagic stroke, intracranial mass 드물게 정신 질환이 있습니다. Pathophysiology 의식=arousal(sensory input) + awarenes(ability to process) awareness : 피질 기능에 달려 있습니다. 피질은 의식이나 자각의 내용을 담당합.. 2022. 4. 1. 중증 외상센터로 가야하는 외상의 분류 step 1,2 에 해당이 되는 경우는 무조건 최고 수준 외상센터로 보내야 한다. GCS < 14 SBP 2022. 3. 25. 경련 seizure (rosen 9th) 응급 임상의의 목표는 발작을 모방 발작과 구별하고 되돌릴 수 있는 원인을 식별하는 것입니다 뇌전증은 유전적으로 결정되거나 후천적인 뇌 장애에 의해 야기되는 반복적인 이유 없는 발작으로 정의됩니다 status epilepticus는 기본 정신 상태로 돌아가지 않고 5분 이상 지속되거나 반복되는 발작을 특징으로 합니다. Epidemiology 발작은 원인(1차 또는 2차), 멘션에 미치는 영향 및 운동 활동에 따라 분류됩니다. 전신 발작은 양쪽 뇌 반구에서 비정상적인 신경 활동을 의미하며, 이는 의식 수준의 변화를 초래합니다. 국소 발작은 보통 하나의 대뇌 반구를 포함하며, 따라서 의식을 보존합니다. 경련성 발작은 통제되지 않고 리드미컬한 운동 운동으로 특징지어지며 신체 일부 또는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 2022. 3. 18. 기흉 pneumothorax 1. pathophysicology normal negative pressure : -5mmHg~8mmHg visceral pleura의 break가 있으면 생김 Tension pneumothorax의 intrathoracic pressure는 15~20mmHg 증가된다. 2. clinical feature sudden onset of dyspnea, ipsilateral, pleuritic chest pain. Sinus tachycardia, ipsilateral decreased breath sounds, hyperresonance, absent tactile fremitus tension pneumothorax - tracheal deviation, hyperresonance, hypotensio.. 2022. 3. 9. pelvic Fx 엉덩방아를 찧은 경우 /엉덩이 뒤쪽이 아픈 경우 - Inlet&outlet 다리를 못드는 경우, 엉덩이 앞쪽, 고관절이 아픈 경우 - Hip은 femor head를 보는 것 1. hip pain에서 찍을 수 있는 xray view ##case 2022. 3. 9. Angio edema. urticaria, anaphylaxis 1. urticaria 두드러기 2. Sever Angio edema https://www.bmj.com/content/347/bmj.f6186 Radiograph showing the soft tissues of the neck: lateral view Name the areas labelled A-F that are important when looking at a radiograph in a patient with suspected ingestion of a foreign body⇓. www.bmj.com 3. Anaphylaxis => BP 가 떨어지는 경우 epi IM ABC check 가 가장 중요! 1) epi IM 최대한 빨리 주입 성인(12세 이상) : 0.5mg 1:1000 반응이 없는.. 2022. 3. 5. Head Trauma 두부외상 > 두개골 골절 뼈의 탄력성을 능가하는 외력이 가해지면 두개골 골절이 생긴다. 두개골 골절이 있는 2/3 환자에서 의미 있는 두개강내 병변이 생기고 경막하 혈종이나 경막 상부 혈종의 발생을 몇 배로 증가시킨다. 골절은 선형, 기저, 복합성, 함몰성 등으로 나눈다. (1)선상골절(linear fracture)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는 선상골절은 특별한 치료를 요하지 않습니다. C-T 혹은 MRI를 시행하여 두개강내 출혈 등의 합병증이 있는지 확인하시는 것이 좋다. (2)함몰골절(depressed fracture) 폐쇄성(두피에 상처가 없는) 함몰골절은 뇌 성장기의 소아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수술을 하여 주는 것이 좋고 성인에서는 5mm이상 함몰이 된 경우 수술을 시행한다. 개방성(두피에 상처가 있는 경우) 함몰골절의 경우는 .. 2022. 2. 10. 턱이 빠지는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 TMJ dislocation Temporomandibular joint (TMJ) dislocation 1. 턱관절 탈구의 원인 뼈의 구조이상(eg, capsular weakness, internal derangement) 얼굴 형태 이상 (비대칭적 턱 성장, diminished articular eminence, ligamentous laxity) 행동(크게 입벌리기, 크게 하품하기) 이외의 병(osteoporotic bone loss, systemic disorders) 등이 있다. 2. 어떻게 탈구가 일어나나요? TMJ dislocation occurs when the condyle moves too far Lower Jaw 의 돌기 부분이 턱관절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해주는데, 이 부분이 너무 많이 움직이게 되면 Mandibu.. 2022. 2. 7.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