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증상

턱이 빠지는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 TMJ dislocation

by Hong :) 2022. 2. 7.
728x90
반응형

Temporomandibular joint (TMJ) dislocation

1. 턱관절 탈구의 원인

뼈의 구조이상(eg, capsular weakness, internal derangement)

얼굴 형태 이상 (비대칭적 턱 성장, diminished articular eminence, ligamentous laxity)

행동(크게 입벌리기, 크게 하품하기)

이외의 병(osteoporotic bone loss, systemic disorders) 등이 있다. 

 

2. 어떻게 탈구가 일어나나요? 

TMJ dislocation occurs when the condyle moves too far

탈구된 상태. 정상인 경우 fossa 안에 돌기(condyle)가 들어가야 한다

Lower Jaw 의 돌기 부분이 턱관절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해주는데, 이 부분이 너무 많이 움직이게 되면 Mandibular Fossa 에서 앞쪽으로 돌기가 빠지게 되면서 턱이 다물어지지 않게 되며, 이 상태를 턱이 빠진 상태라고 하게 된다. 

 

3. 턱관절 탈구를 진단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환자의 상태(clinical Hx) 가 가장 중요하며 보통 평소 턱에서 소리가 나거나 턱이 불편하던 환자, 이전에 턱 탈구를 경험한 적이 있는 환자가 하품을 크게 하거나 입을 크게 벌리거나, 딱딱한 음식을 많이 씹게 되면서 발생합니다. 

과거력이 없는 경우라도 크게 입을 벌리면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4. 처치

턱관절 탈구의 경우 주로 응급실에서 손으로 맞추게 되는데, 어금니쪽의 턱관절을 입안쪽과 바깥쪽에서 엄지와 검지로 잡고 후하방으로 당겨 맞춰주게 됩니다. 

The standard treatment for acute TMJ dislocation is reduction of the mandible, a technique by which the dislocated jaw is pushed downward and backward into its normal position.

마취제를 사용할수도 있으나, 금방 끝나는 과정이기 때문에 주로 마취 없이 시행하게 된다. 

수술적인 치료의 경우 탈구의 빈도를 줄여주는 데 실패하는 경우가 많아 선호되지 않는다. 

 

5. 처치 이후 

처치이후 재탈구가 빈번하기 때문에 하루 이틀은 입을 크게 벌리는 것에 주의해야 합니다. 

보통은 처치 후 붕대로 턱관절이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며, 하루 정오 이후 붕대를 풀고 생활하면 됩니다. 

빈번한 재발이 일어날 경우 대학병원의 치과 등에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반응형

'의학 > 증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부 손상 Head trauma  (0) 2022.03.01
골절 Fracture  (0) 2022.03.01
해부학 Anatomy  (0) 2022.03.01
TBI traumatic Brain Injury 두부외상  (0) 2022.02.10
Dizziness 어지러움  (0) 2022.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