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58

septic shock 22/08/25 # CLL # 2022.7.25-8.11 CMML, CLL, COVID-19 infection으로 입원치료 받음 # ★★★ 2022.07.14 추적골수검사= 2ndary AML 8월 22일 밤부터 발생한 fever 주소로 내원 R/O fungus ball로 생각되는 lesion들이 관찰됩니다 R/O Septic shock d/t fungal infection @initial v/s 68/45-95-20-37.0 @CXR: Focal opacity in LLL. A large mass in LUL. ** ANC 500 미만이면 역격리 필요하다 !! - 내원시 0.19 (190) CRP (C-Reactive Protein), quan. 94.28 ▲ Procalcitonin Quantification Tes.. 2022. 8. 25.
Spondylolisthesis - 척추전방전위증 22/08/22 원인은 선천적으로 관절 돌기가 손상되어 있거나 외상 또는 척추의 퇴행으로 인해 상하척추 연결부가 늘어나면서 발생한다 - 주로 무증상 / low back pain DDX : 척추분리증(脊椎分離症, spondylolysis)- 이 질환은 척추가 분리되는 것이며 대부분 관절 돌기 간 협부에서 발생한다. This spine defect is a stress. Fx or crack in spine bones. It’s common in young athletes. spondylolysis 가 spondylolisthesis 를 야기할 수 있다. SX : back pain 비정상적 보행 - 무릎 편 채로 뒤뚱뒤뚱 걷는 경향 DX 메이어딩 그레이드(Meyerding`s Grade) - grade 3부터 / 통증이 심.. 2022. 8. 22.
Oxygen Saturation Index and Severity of Hypoxic Respiratory Failure Oxygenation index (OI=mean airway pressure MAP × FiO2 × 100÷PaO2) oxygen saturation index (OSI=MAP × FiO2 × 100÷SpO2) FiO2 구하기 - mask 종류에 따라 다르다! https://m.blog.naver.com/yajido/222046939988 007. 신규 간호사를 위한 산소요법 (FiO2 계산, flow의 이해) 0. FiO2와 flow의 이해 산소요법은 간호사라면 반드시 이해해야할 항목 중 하나이다. 오늘은 여기서 산소... blog.naver.com 2022. 8. 22.
Pseudosubarachnoid hemorrhage 1. 원인 cerebral edema where there is a decrease in parenchymal attenuation and engorgement and dilatation of the superficial venous structures due to an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Other causes include: severe meningitis: breakdown of the BBB allowing mildly hyperdense proteinaceous material to leak into the subarachnoid space venous sinus thrombosis : bilateral large subdural hemorrhage prod.. 2022. 8. 19.
pancreatitis 22/07/12 이런 진단기준은 중증의 급성 췌장염 환자가 의식이 없는 상태에서 내원하거나 증상 발생과 내원 시기에 차이가 있는 경우 췌장 효소 수치가 정상인 경우에도 진단을 내릴 수 있다. 1) 상복부의 급성 복통과 압통 급 성 췌장염에 부합되는 상복부의 급성 복통이다. 약 90% 이상의 급성 췌장염 환자에서 복통을 호소하며, 40%~70%에 서는 등으로 방사되는 전형적인 복통을 호소한다 시작과 동시에 30분 안에 빠르게 최고조로 이르게 되어 참기 어려울 정도의 통증을 유발하며 호전 없이 24시간 이상 지속 + 식욕부진, 오심과 구 토, 고열, 장음의 감소 2) 혈청 췌장효소 수치의 상승 lypase 의 특이도가 더 높다, 민감도는 비슷함. - Amylase 기준 : 정상 상한치의 3배 이상 다른 원인 : 신부전, D.. 2022. 7. 12.
cholecystitis 22/07/09 case 1 AST(GOT) 42 ▲ ALT(GPT) 31 Alkaline Phosphatase 75 Total Bilirubin 0.99 Direct Bilirubin 0.60 ▲ γ-GTP 86 ▲ Amylase 168 ▲ Lipase 117.0 ▲ APCT) GB wall thickening, distension CBD dilatation r/o liver cyst P) cholecystectomy를 통한 GB 제거를 하지 않으면 통증이 재발할 가능성이 높음을 설명함. 그러나 환자 현재 통증 subside되었고 wbc, crp 증가 보이지 않아 응급으로 수술을 진행할 필요가 있는 상태는 아님을 설명함. 환자 빠른 수술 진행을 원하여 다음주 화요일 입원, 수요일 수술 하기로 결정 후 퇴원 case 2.. 2022. 7. 9.
appendicitis 22/07/06 case1 F/41 응급실 기록 특이 기저력 부인하는 41세 여자환자, 상기 시각 부터 시작된 abdominal pain을 주소로 본원 응급실 내원함. 처음에는 peri umbilical area의 pain 있었으나 위장약 복용 후에는 low abdominal area의 pain호소함. 오후 8시경 vomiting 1회 있었다고 함. nausea (-) diarrhea (-) P/ex - RLQ Td (+) 응급실 검사 WBC Count 16.15 ▲ CRP (C-Reactive Protein), quan. 3.42 APCT > 봐도봐도 너무 어려운 압빼... case2 M/30 응급실 기록 #HIV ( 치료 받는 중 -미검출이라고 하심) # type I DM (인슐린 치료 중) 오늘 오전 시작된 복부 .. 2022. 7. 6.
hypokalemia / TPP 22/07/03 -> f/u M/35 24039871 c.c leg tingling sensation 응급실 기록 #HBP 환자 금일 10시 50분부터 갑지가 양측 대퇴부 근육 힘이 안들어가며 넘어졌다고 하며, 이후로 증상 지속되어 내원함. 내원 당시는 초반보다 호전되어 motor 3 정도 Td (-) pain (-) SLR (-) trauma (-) back Td (-) pain (-) 응급실 검사 LAB > Sodium 140 Potassium 2.5 ▼ Chloride 106 cardiac marker > WNL xray > WNL Adm 기록 (ME / MN) R/O Primary aldosteronism 상환 both leg weakness, tingling sensation 주소로 응급실 내원하였고, initial lab.. 2022. 7. 3.
peritonitis 22/07/01 F/32 24038081 응급실 기록 #기저력 (-) 내원 당일 오전 9시 반 경부터 시작된 low abdominal pain 아침에 씻고 나온 후부터 뻐근한 통증이 지속되었으며, 오전 타이레놀 복용하였으나 효과없었다고 함. a/n/v/d/c/ -/-/-/-/- PEx ) soft abdomen, RLQ,LLQ Td (+), rTd (-) 응급실 검사 LAB > WNL APCT > - small amount of hemoperitoneum - non specific peritonitis - normal ovary, uterus case review > hemoperitonium The density of fluid in the abdomen suggests its composition (i.e. asci.. 2022. 7. 2.
diverticulitis 22/07/02 CASE1 > F/39 응급실 기록 내원 당일 오후 6시 부터 시작된 flank pain을 주소로 본원 응급실 내원함. RLQ pain 동반되며 속이 메스꺼워 어제부터 식사를 잘 하지 못했다고 함. BT 38.2 P/Ex RLQ Td (+) N/V (-/-) Urinary symptom - c/s/r -/-/- 응급실 검사 CRP (C-Reactive Protein), quan. 77.81 ▲ WBC Count 11.29 ▲ APCT > Adm 기록 GS 입원하여 conservative care 게실에 대한 평가 위하여 증상 회복 후 대장내시경 f/u이 필요함을 설명함. -> 여러 번 재발시 장 절제 수술 CASE2> Case review > diverticulitis diverticulosis : di.. 2022. 7. 2.
pancolitis 22/06/29 M/40 발열 + abd pain + N/V/D -/+/+ 응급실 기록 local CT 상 pancolitis 소견으로 내원함. > LAB CRP (C-Reactive Protein), quan. 174.67 ▲ WBC Count 11.27 ▲ 응급실 검사 > APCT CT Reading Outside Films(Abdomen) [검사일시:2022-06-30 06:58] ED (조창현) [FINDING] Diffuse long segmental colonic wall thickening is noted from cecum to descending colon. A few enlarged ileocolic LNs are seen. Appendix appears to be normal. There is no .. 2022. 7. 2.
ASO 22/06/29 F/72 좌측 팔 마비 및 저림증상 동일 증상으로 5/19 5/27 가정의학과 내원 5/19 검사 ‥HbA1c-NGSP 9.4 ▲ ‥HbA1c-IFCC 79 ▲ ‥HbA1c-eAG 223 ▲ 5/24 검사 > Sono Intima-Media Thickness Measuret Common Carotid Artery Rt : 0.8, 0.8, 0.6 mm Lt : 0.8, 0.8, 0.7 mm WNL > PWV (동맥경화진단검사) ABI = 발목 수축기 혈압/상완 수축기 혈압 좌 0.91 / 우 1.27 -> normal range ◎ baPWV = (La-Lb)/tba tba: 상완 맥파와 역방향 발목 맥파의 오름 시간차 ◎심장-발목 혈관지수(cardio-ankle vascular index, CAVI):.. 2022. 7. 1.
Portal vein thrombosis 22/6/2 -> f/u M/55 15095092 응급실 기록 abd pain # cholecystectomy history 상환 전일부터 발생한 abd pain 주소로 local에서 ct촬영후 SMV thrombosis, portal vein thrombosis 진단받아 응급실로 내원함. epigastric, RUQ, LUQ Td (+), rTd (-) a/n/v/d/c/ -/-/-/-/- CTVR) main portal vein뿐만 아니라 segmental vein 에도 thromobosis관찰, ischemia 심한정도로 판단, extent 도 넓음. 응급실 검사 WBC Count 15.59 ▲ CRP (C-Reactive Protein), quan. 60.49 ▲ Fibrinogen 613.0 ▲ mg/dl 175~360.. 2022. 6. 28.
Ulcer perforation 22/6/27 M/36 -> 젊은 남자 abd pain 극심하면 "얼빵" 의심해보자 응급실기록 기저질환 복용약 부인함. 2년 전 마지막 EGD , gastritis 1주 정도 전부터 야간에 속쓰리고 쥐어짜는 통증 내원 당일 저녁 식사 후 복통 갑자기 악화되어 내원. rigid abd. epigastric td++ diaphoresis+ NRS 8-9 last EGD 2YA, duodenal ulcer, helicobacter 양성이라 들었다고 함 Ophx(-) 검사 >xray : free air! CXR AP 불가능하여 decubitus 대신 찍음 CT 가 없는 경우 & 세울 수 없는 경우는 L tube로 공기를 집어넣어 보는 방법도 있다. > CT OP 기록 Port: umbilicus 12mm, Lt. abd 12.. 2022. 6. 28.
아킬레스 건 파열 2022. 5. 2.
728x90
반응형